2021. 6. 7. 17:45ㆍLinux
1. Prompt 명령어 문법 법칙
명령어 [option] [target] : 기본 문법
ex) ls -l /
- 명령어의 옵션은 순서없이 조합이 가능
ex) ls -alR = ls -Ral
- 띄워쓰기시 새로운 옵션 및 경로 적용
ex) mkdir /anon1 /anon2 /anon3 /anon4
- 모순되는 옵션존재시 마지막 옵션이 적용
ex) ls -hhl
- 명령어 Error 났을때도 띄워쓰기 이후는 무조건 실행
2. 파일 및 디렉토리 법칙
- 파일과 디렉토리의 이름에는 '/'을 사용 할 수 없다. /는 경로에서 구분을 시켜주는 구분자로써 사용된다. 위치마다 다른 의미를 가진다
첫/ : 최상위
중간/ : 하위
끝/ : 디렉토리
ex) /home/user1/folder/html.index <<파일
^ ^ ^ ^
최상위 하 위 디렉토리
- 파일과 디렉토리 이름에는 알바펫(대소문자), 숫자, 붙임표(-), 밑줄(_), 점(.)만 사용가능하다
ex) last, Last, Real_Last, Real_Last-of-Last
- 디렉토리 이름에서 영문은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 파일과 디렉토리 이름의 앞에 점(.)이 붙으면 숨긴파일로 간주한다. 단, 혼자 쓰이면 '현재'를 의미한다
ex) .html.index : 숨김파일
/. : 현재 위치
3. 주요 디렉토리 설명
- / : 최상위 디렉토리. (=Windows C:)
- /boot : 부팅 파일들의 저장소. /grub의 부트로더(= Windows boot.ini). 리눅스 커널의 메모리 이미지와 부팅과정에 필요한 정보들
- /bin : 2진수로 구성된 실행 파일들. 소위 '명령어' 리스트이다. 기본적인 명령어가 적재
- /sbin : 시스템 명령어(= Windows system32). 시스템 운영 및 관리 부팅과정에 필요한 것
- /root : 슈퍼유저, 관리자의 홈 디렉토리(=Windows administrator Home Directory)
- /home : 관리자 이외의 유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생성되는 위치. 유저 홈 디렉토리의 집합소
- /etc : 서버 관리 및 시스템 관리. 설정 파일들의 저장소
- /dev : device의 줄임말, 장치 파일 저장소
- /lib : 언어 관련 파일 저장소. 파일에 대한 해석역할(= Windows dinamic link library 통칭 .dll)
- /mnt : 파일 시스템을 임시로 마운팅 하는 디렉토리
- /usr : Unix System Resource. 용량이 크고 자주 사용되지 않는 파일 저장.
기본 실행파일, 라이브러리 파일, 헤더 파일 등 많은 파일이 적재
- /proc : 커널(OS)과 프로세스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 /tmp : 시스템 사용 중에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가 저장되고 재부팅시 모두 삭제
- /var : /var/log나 /var/adm과 같이 자주 변경되는 시스템 파일
- /opt :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렉토리
- /sys : 리눅스 커널과 관련된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 /lost+found :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해 복구할 경우, 문제가 되는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보통 비어있다
- /srv : FTP나 Web 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데이터가 저장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h shell_Day 4 (0) | 2021.12.17 |
---|---|
bash shell_Day 3 (0) | 2021.12.13 |
bash shell_Day 2 (0) | 2021.12.10 |
bash shell_Day 1 (0) | 2021.12.09 |
리눅스 명령어 모음집 (0) | 202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