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2)
-
DHCP & NAT_Router
1. 개요 이번 글은 DHCP와 NAT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우터에 대해서 다룰 것이다. DHCP는 IP 주소 배분을 요청하는 PC에게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해주는 서비스이며, NAT 서비스는 내부망의 패킷이 외부로 나갈때 공인 IP로써 나가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 DNS Server : WA2008 FTP Server : WB2008 HTTP Server : LA7 DHCP Client : LA5, WC2008 ----------------------------------..
2021.11.16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Server
NAT란? 네트워크 주소 변환이라고 해석되는 NAT 서버는 사설 IP를 공인 IP로 바꿔서 내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예를들어 회사 내부에 Host PC가 100대가량있는데 이 모든 PC에게 공인IP 주소를 부여하면 C class의 반정도 되는 양의 IP가 필요하다. 지금처럼 IP가 부족해 IPv6로 넘어가고 있는 추세에 너무 많은 IP를 소비하는 것도 좋지 않거니와, IPS가 제공하는 IP 하나당 가격이 5만원 정도임에 감안할때 거의 500만원이 매달 나가니 엄청난 지출일 것이다. 또한, Host PC모두 공인 대역대에 노출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모두 해결해 주는 Server가 NAT Server이다. NAT Server를 기준으로 안과 밖이 구분되며 안을 '내부..
2021.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