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P(3)
-
FTP Server - Linux
Linux FTP Server 구축 절차 절차) ①패키지 확인 ②패키지 설치 ③패키지 시작 ④방화벽 확인 ⑤selinux 확인 ⑥패키지 상세 설정 #setup *CentOS 5.5에서 방화벽 설정 명령어 ⑥패키지 상세 설정 #vi /etc/vsftpd/vsftpd.conf : vsftpd 상세 설정 파일 # vi/etc/vsftpd/vsftpd.conf anonymouns_enable = YES#Line_12 익명계정 허용여부 local_enable = YES#Line_13 로컬계정 허용여부 write_enable = YES#Line_18 FTP 접속시 '쓰기' 허용여부 local_umask = 022#Line_22 기본 파일 생성시 UMASK(권한제한) 022 anon_upload_enable = YE..
2021.07.30 -
FTP Server - Windows 기본
1. 패키지 다운로드 2. FTP Server 생성 * 이 설정의 경우 같은 PC 안에 여러개의 IP가 있거나, 하나의 IP로 여러개의 FTP 서버를 생성할 때 구분해주는 역할을 한다. 뒤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사용자 격리 안함 : FTP Client가 FTP Server 접속 시 원하는 곳으로 자유롭게 폴더를 이동하는것을 허용. 보안상 위험 - 사용자 격리 : Client가 Server가 지정한 폴더 외에는 이동할 수 없게 제한. 보안 강화 - Active Directory를 사용하여 사용자 격리 : Windows Group을 통해 격리. *추후 다룰 예정 *폴더의 경우 공유 상태여야 하며, 권한은 연습하기 좋게 Full 권한, Everyone 모든권한 허용 해놨다. *위는 폴더 내에서 쓰기, 읽기..
2021.07.30 -
FTP(File Transfer Protocol) Server
FTP란?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노드들간에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프로그램들이 많다. Windows같은 경우 내장 프로그램와 FileZilla, Linux의 경우 vsftp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TCP/IP를 사용하여 특정 포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한다. 하지만 FTP는 비밀번호가 평문으로 구성되어 보안이 취약해 FTPS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SSH를 기반으로 SFTP가 따로 있으나 이는 이름만 똑같지 사실상 다른 프로토콜이다. 사실상 SSH의 부속기능정도다. 내부망으로는 쉽게 구축이 되나 외부망과 연결해야 되면 보안상으로나 구조적으로나 번거롭다. 주로 Server쪽에서는 20, 21번 포트를, Client 쪽에서는 1500,1501번 포트..
2021.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