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_EC2(Elastic Compute Cloud) III

2021. 11. 30. 16:05Cloud

1. EC2 검색 및 서비스 확인

 

2. EC2 대쉬보드 확인

3. EC2 생성하기

1단계 : AMI 선택

빠른 시작

 기본적인 리눅스부터 윈도우, 각종 운영체제가 기성품처럼 만들어져 있다.

나의 AMI

자신이 만들어놓은 AMI를 선택할 수도 있다. 자신이 만들어놓은 만들어놓은 서버가 있다면 그 서버를 이미지화 시킨 후, 여기서 곧바로 만들 수 있다.

AWS Marcketplace

 제조 회사들이 만들어놓은 AMI. 일정 값을 지불해야 사용 가능한것도 있고, 무료로 제공되는 것도 있다. 카테고리별로 묶여 있어 원하는 이미지를 찾기 수월하다.

커뮤니티 AMI

 아마추어들이 만들어놓은 AMI. 피드백으로 쓰이기도 한다.

 

2단계 : 인스턴스 유형 선택

프리티어용 t2.micro 선택

 

3단계 : 인스턴스 상세 설정

4단계 : 스토리지 추가

스토리지 종류

5단계 : 태그 추가

태그 예시

6단계 : 보안 그룹 구성

 새 보안그룹은 생성 중인 인스턴스와 함께 새로 생성되며, 따로 보안그룹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기존 보안 그룹은 자신이 설정 해놓은 그대로 사용되기 때문에 같은 서버를 생성할때 똑같은 보안 그룹을 적용하고 싶다면 이렇게 설정하면 된다. 필자는 예시임으로 기본으로 생성된 보안 그룹을 적용

 

7단계 : 인스턴스 시작 검토

8단계 : 키 추가

인스턴트를 생성 시, 인스턴스에 원격으로 접근하기 위해서 개인 키를 생성하거나, 기존 키를 사용하는데 새로운 키를 생성하면 자신에게 특정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게 한다. 이 파일이 개인 키이며 접속 프로그램(ex>putty)를 사용시 이 키를 사용하여야만 인스턴스에 접속 할 수 있다. 

 *개인키를 통해 Putty 접속 방법은 추후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4. 인스턴스 생성 중

5. 인스턴스 생성 완료

*상세 설정은 위에서 다루었기 때문에 따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6. 인스턴스 삭제(종료)

 해당 인스턴스를 삭제하고 싶다면 체크박스에 체크 후, 인스턴스 상태에서 종료 버튼을 눌러줘야 한다. 

중지의 경우 단순히 인스턴스를 shut down(끄기)이기 때문에 요금이 발생하지 않고, 삭제되지 않은 채로 잠들어 있다.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_VPC(Virtual Private Cloud) I  (0) 2021.12.03
AWS_DB(DataBase)  (0) 2021.12.01
AWS_EC2(Elastic Compute Cloud) II  (0) 2021.11.29
AWS_EFS/FSx I  (0) 2021.11.29
AWS_EC2(Elastic Compute Cloud) I  (0) 2021.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