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_고가용성 & Route 53

2021. 12. 15. 15:02Cloud

1. 고가용성

 1) 개념

어떠한 장애로 인해 서비스가 중단되는 시간을 최소화 시켜 높은 가용성을 보장하는 것. AWS는 99.999%를 보장한다.

 2) 내결함성 :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속성

 결함이 생기더라도 서비스 중단이라는 단계까지 가지 않게 하는 것. 가능한 모든 서비스 지점에서 중복성을 구현하여 단일 장애로 인해 전체 시스템이 중단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DB든, 서비스 서버든 2개 이상을 생성해 놓고 하나의 서버가 문제가 생겼을 시, 예비 서버가 곧바로 가동되게끔 설정하여 서비스의 지속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2. Route 53

 1) 개념

AWS의 DNS 서비스. 그 외에도 여러가지 라우팅 옵션을 제공하여 장애조치도 보장한다. 이를 통해 AWS의 고가용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ELB는 가용영역간 로드밸런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리전간에는 로드밸런서를 수행하지 못한다.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게 Route 53

**fail-over 기능 : 2개의 리전에 IDC를 만들 경우, Primary와 Secondary를 구성하여 트래픽을 부하분산하는 기능

 2) 라우팅 옵션

  i) 상태 확인 및 DNS 장애 조치 : 특정 리전에 지속적으로 트래픽을 보내고 받는 Reply가 정상적이지 못하면 곧바로

다른 리전으로 트래픽을 우회. 여러 리전을 이용하여 장애조치 환경을 만들었을 때 장애조치가 자동으로 되도록 해주는 라우팅 옵션

  ii) 간단한 라운드 로빈 

  iii) 가중치 기반 라운드 로빈 : 특정 리전에 트래픽량을 유동적으로 조절해주는 기능

  vi)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 : 원하는 리전에 트래픽을 보내 Reply 속도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높은 만족도 보장

  v) 지리 위치 라우팅 : 요청이 들어온 곳을 기준으로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의 리전으로 트래픽 인계

  iv) 트래픽 바이어스를 통한 지리 근접 라우팅 : 전 세계의 지리를 구역별로 나눠 요청이 들어온 곳에 따라 트래픽 연계 조정

  iiv) 다중 값 응답 : 등록된 IP를 모두 반환해주고 요청자가 알아서 선택해서 쓰는 방식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_IAM(Identify and Access Management) II  (0) 2021.12.16
AWS_IAM(Identify and Access Management) I  (0) 2021.12.15
AWS_ELB(Elastic Load Balancer)  (0) 2021.12.10
AWS_VPC(Virtual Private Cloud) III  (0) 2021.12.10
AWS_VPC(Virtual Private Cloud) II  (0) 2021.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