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3. 19:13ㆍLinux
참고 자료
https://stackframe.tistory.com/28?category=849329 https://wiki.kanotype.net/ko/QEMU
https://hiseon.me/server/qemu-img-tutorial/
https://varins.com/library/server/virtual-machine-qemu-kvm/
절차) ①패키지 확인 ②패키지 설치 ③패키지 시작 ④방화벽 확인 ⑤selinux 확인 ⑥패키지 상세 설정
1. 참고 사항
VMware에서 Ubuntu Linux를 통해 구동하였습니다!
- 물리 스펙
*가상화를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아무것도 뜨지 않으면 가상화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가상화와 관련된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위의 VMware의 CPU 설정에서 체크박스에 체크를 해주지 않으면 아무것도 뜨지 않는다.
*우분투 배포판은 기본적으로 kvm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이 모듈이 있어야 VM이 작동한다고 한다. 구글링을 해보니 없는 경우가 없다고 하는데 없다면..
* VM에 사용할 OS : CentOS7_x86_64_7.5 DVD 버젼
이들은 검색을 통해서 미리 받아놨다. 시간이 꽤 걸렸다.
https://vault.centos.org/7.5.1804/isos/x86_64/
①패키지 설치 및 확인
②패키지 시작
④방화벽 확인 & ⑤selinux 확인
- 서버가 아니기 때문에 생략
⑥패키지 상세 설정
1) 가상 스토리지 생성
컴퓨터를 구성하기위해서 가장 중요한것은 CPU / 스토리지(HDD, SDD..) / OS / RAM 정도라고 생각한다. 지금 하려는 작업은 VM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파워서플라이라던지, 마더보드라는 개념은 필요가 없으니까 생략하도록 한다.
qemu-img를 통해 VM이 사용할 가상의 스토리지 생성해주어야 한다.
# 디스크 이미지 생성 기본 명령어
$ qemu-img create -f [포맷방식] [이미지 이름] [용량]
-f qcow2는 디스크 포맷 저장 종류를 나타내기 위해서 적었다. -f 옵션을 설정하지 않으면 raw로 자동설정된다. 이미지의 포맷 방식에는 4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2가지만 서술하였다. 그 외는 VMware용 img 포맷 형식인 vmdk와 VirtualBox를 위한 vid가 있다.
1) raw
가장 기본적인 디스크 포맷이며 형식이 설정되지 않아 qcow보다 성능은 뛰어나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스냅샷과 압축을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지정한 용량만큼 실제로 호스트의 용량을 차지한다.
2) qcow & qcow2(qemu copy on write)
qemu에서 사용하는 디스크 포맷 방식. 가상의 스토리지와 실제 스토리지와 매핑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스냅샷, 멀티플 스냅샷, 용량 절약, AES 암호화, zlib압축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특별한 이유가 아니라면 이 포맷을 사용하는것을 추천한다.
2) 가상 머신 생성
# OS 64bit를 위한 생성 명령어
$ qemu-system-x86_64 (옵션1) (하위옵션) (값) (옵션2) (값).... -enable-kvm
# OS 32bit를 위한 생성 명령어
$ qemu-system-i386 (옵션1) (하위옵션) (값) (옵션2) (값)....-enable-kvm
# kvm으로 실행
$ kvm (옵션1) (하위옵션) (값) (옵션2) (값)....
- Opsion list
1) -m (값) : VM의 램 크기 설정. G단위로 설정하면 익숙하게 설정 가능
2) -cpu host : cpu 사용 방법 설정. host 입력시 HOST PC의 CPU 사용
결과 : OS 설치 후 재부팅하면 다시 OS 설치를 하는 무한의 굴레에 빠짐. 저장소를 지정하지 않아서 일어나는 문제인가? 재부팅 후 2번째 설치페이지로 가서 VM의 저장소를 가면 남은 용량이 없다고 출력. 그 말은 깔렸다는 의민데.. 깔렸다면 OS 실행을 해야지 왜 다시 installer가 실행되는지 의문이다.
virt-manger로 GUI로 하니까 잘만 된다. virt-manger로 기본적으로 실행하는 방식을 정리해야겠다..
- 오류 번외
1) No boot device : Code 0004
: 설치한 iso파일, OS파일이 정상적이지 않거나 qemu-img으로 만들어진 img 파일이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오류. 필자의 경우 os를 다른 버젼을 받거나, ftp가 아니라 직접 받는 방법으로 해결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 예약하기_at & cron (0) | 2022.03.18 |
---|---|
bash shell_Day 6 (0) | 2021.12.24 |
bash shell_Day 5 (0) | 2021.12.23 |
bash shell_Day 4 (0) | 2021.12.17 |
bash shell_Day 3 (0)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