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2)
-
bash shell_Day 4
리눅스는 C, C++, JAVA처럼 변수를 '타입'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bash shell은 기본적으로 문자열로 작동하며, bash가 알아서 문맥에 따라 정수 연산이나 변수를 비교해 준다. 이걸 구분하는 방법은 "변수값이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는가?" 이다. 1. 변수 타입 지정 1) declear -r : 읽기전용 변수 2) declear -i : 정수용 변수 - 쉘 스크립트 계산식 : expr 값 연산자 값 3) declear -a : 배열용 변수 4) declear -x : 환경전용 변수 2. export와 환경변수에 관한 공부 #참고 명령어 env# 모든 환경 변수 출력 export -f 함수명 # 함수를 export할 때 명령어 export를 사용하기 위해서 자식과 부모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야 ..
2021.12.17 -
bash shell_Day 3
1. 매개 변수 활용 1) ${변수} : 기본적인 변수 사용. 변수의 값 반환 2) ${변수:위치} : 위치 다음 부분부터 끝까지 문자열 반환 - 물론 제일 첫 시작은 0이다. 파이썬 인덱스랑 동일하게 쓰임 3) ${변수:위치:길이} : 시작위치(포함)부터 특정길이까지 문자열 반환 4) ${변수-단어} : 변수 즉석생성 및 값 넣기 - 기존 문자열을 주석처리하여 string1이라는 변수의 존재가 없어짐 - string1이라는 문자열을 즉석으로 생성하고 값을 넣는방식 - 명령어 위에 변수가 있다면 작동 X - ${변수:-단어} 명령어 후에는 바로 할당이 제거되어 하위에서 사용 불가 *bash shell은 값이 NULL인 개념이 없다. 공백만 있을뿐 ex>string1="" - 위치매개변수도 사용 가능 - ..
202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