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BA _ Windows

2021. 11. 8. 19:05Server

절차) ①패키지 확인 ②패키지 설치 ③패키지 시작 ④방화벽 확인 ⑤selinux 확인 ⑥패키지 상세 설정

*CentOS 7 사용

- 개요

전체 토폴로지

Windows가 SAMBA Server이며 Linux가 그의 Client가 되어 폴더를 공유하는 토폴로지를 만들어보았다. Windows가 SAMBA Server가 되면 비교적 단순하니 천천히 따라오면 된다.

 1) Server(Windows)

SAMBA Client용 계정 생성
공유용 폴더 생성
폴더 공유1
폴더 공유2
폴더 공유3_공유받을 계정 추가
폴더 공유4_계정 권한 설정
폴더 공유5
폴더 공유6
폴더 공유7
공유된 폴더 내 파일(구분용!)

 2) Client(Linux)

①패키지 확인  

②패키지 설치

③패키지 시작 

[④방화벽 확인 ⑤selinux 확인 ⑥패키지 상세 설정]은 서버가 아니라서 넘어가겠습니다.

 

④ SAMBA용 폴더 생성

 

mount -t cifs //x.x.x.x/SAMBA용공유폴더(server) /SAMBA용공유폴더(clinet)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는 SMB 파일 공유 프로토콜의 확장된 버젼이다. SMB 프로토콜보다 더 안정성이 뛰어난 것이 특징입니다.

*mount -t cifs //x.x.x.x/SAMBA용공유폴더(server) /SAMBA용공유폴더(clinet) -o username='사용자명', password = '패스워드'

 : -o 명령어를 통해 뒤에 특정 계정과 비밀번호를 치면 따로 비밀번호를 적거나, root 계정을 따로 만들어줄 필요가 없어진다!

 

root@//x.x.x.x/공유폴더 /마운트용폴더

*root 계정을 미리 만들지 않았다면 불가능!

⑥마운트 확인 : df -Th

제대로 마운트 된 모습.

※주의※

1) WIndows에서 공유용 폴더를 만들때 띄워쓰기 하지 말것! mount 명령어에서 띄워쓰기는 구분용이기 때문에 명령어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

ex> Windows 공유 폴더 이름 : Windows Folder

linux]#mount -t cifs //x.x.x.x/Windows Folder /마운트용 폴더   "불가능!!" 

 

2) 공유용 폴더의 이름들을 정확하게 알고있어야 한다. 철자 확인안하면 몸이고생한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 & NAT_Router  (0) 2021.11.16
SAMBA _Linux  (0) 2021.11.09
SAMBA & Quota  (0) 2021.11.08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Server  (0) 2021.11.01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_Linux  (0) 2021.10.28